저항
저항은 전도체 또는 물질을 통한 전류 흐름의 방해 또는 방해를 의미한다.
이러한 반대는 재료의 구성, 물리적 모양, 온도 및 불순물의 존재를 비롯한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저항 측정 단위는 옴(Ω)이며 문자 "R"로 표시된다.
재료의 저항은 옴의 법칙(R = V/I)을 사용하여 재료에 적용된 전압을 재료를 통해 흐르는 결과 전류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다.
저항이 낮은 물질을 전도체라고 하고 저항이 높은 물질을 절연체라고 한다.
반도체와 같은 일부 재료는 중간 수준의 저항을 가지며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자 장치에 사용된다.
저항은 전기 공학에서 중요한 개념이며 전기 회로를 설계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물리, 화학, 재료 과학과 같은 다른 분야에서도 중요하며, 재료의 특성과 다양한 환경에서의 거동을 연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비저항
전기 저항률이라고도 하는 저항률은 전류 흐름에 대한 고유 저항을 설명하는 재료의 특성이다.
그리스 문자 "ρ"(rho)로 표시되며 옴미터(Ω·m) 단위로 측정된다.
재료의 비저항은 구성, 온도 및 물리적 구조를 비롯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저항률이 높은 물질을 절연체라고 하고 저항률이 낮은 물질을 도체라고 한다.
반도체와 같은 일부 재료는 중간 저항 수준을 갖는다.
재료의 저항률은 저항과 치수를 측정하고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ρ = RA/L, 여기서 R은 측정된 저항, A는 재료의 단면적, L은 재료의 길이이다.
비저항은 전기 공학에서 중요한 개념이며 전자 장치 및 회로에서 다양한 재료의 성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재료 과학과 같은 다른 분야에서도 사용되어 재료의 특성과 다양한 환경에서의 거동을 연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저항과 비저항의 차이
저항과 비저항은 관련된 개념이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저항은 재료, 구성 요소 또는 회로를 통한 전류 흐름에 대한 저항의 척도이다.
특정 개체 또는 구성 요소의 속성이며 옴 단위로 측정된다.
재료의 저항은 치수, 온도 및 구성과 같은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저항은 옴의 법칙(R = V/I)을 사용하여 물체에 적용된 전압을 물체를 통해 흐르는 결과 전류로 나누어 계산한다.
반면에 저항률은 전류 흐름에 대한 고유 저항을 설명하는 재료의 기본 특성이다.
옴 미터로 측정되며 기호 "ρ"(rho)로 표시된다.
비저항은 재료의 고유한 속성이며 모양이나 크기에 의존하지 않는다.
재료의 구성과 온도에 의해 결정되며 주어진 크기와 모양의 재료의 저항을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재료의 저항률은 저항과 치수를 측정하고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ρ = RA/L, 여기서 R은 측정된 저항, A는 재료의 단면적, L은 재료의 길이이다.
요약하면 저항은 특정 물체 또는 구성 요소의 속성이며 옴 단위로 측정되는 반면 저항률은 재료의 고유 속성이며 옴 미터로 측정된다.
저항은 물체의 크기, 온도 및 구성에 따라 달라지는 반면 저항은 재료의 구성 및 온도에만 의존한다.
'전기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러데이-렌쯔의 전자유도 법칙의 정의와 응용 분야 (0) | 2023.05.01 |
---|---|
전기장과 전기력 뜻 및 차이점 (0) | 2023.04.25 |
Lorentz force (로렌치 힘)란? (0) | 2023.04.24 |
hall effect (홀 효과)의 정의와 hall sensor (홀 센서) (0) | 2023.04.24 |
교류와 직류의 뜻 및 차이점 (0) | 2023.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