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4

엑셀 한 셀 안에 데이터 분리하는 법

엑셀로 파일을 받았는데 한 셀안에 데이터가 여러개 들어있어 분리해야할 때가 있죠? 한 셀 안에 여러개의 데이터가 들어있을 때 분리하는 법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엑셀에 들어가면 상단 메뉴에 데이터가 있습니다. 그 데이터에 보면 텍스트 나누기를 누르면 셀안의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습니다. 구분 기호로 분리와 너비로 분리하는 방법이 있는데 경우에 맞게 사용하시면 됩니다!!ㅎㅎ 텍스트 분할 기능 사용: 엑셀에서 "데이터" 탭을 클릭한 다음, "텍스트 나누기"를 선택합니다. "텍스트 나누기" 대화 상자가 나타납니다. "구분 기호"를 선택하고 분할할 기준을 설정합니다. 기본적으로는 탭, 공백, 쉼표 등이 제공되며, 기준에 따라 데이터가 분할됩니다. "결과 위치"를 선택하여 분할된 데이터가 저장될 위치를 지정합니다..

엑셀 2023.06.02

엑셀 고정값 설정하는 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엑셀 고정값 설정하는 법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엑셀 고정값 설정은 $ 하나로 해결됩니다. 위의 값에서 10을 고정으로 빼고 싶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러면 위 그림과 같이 10을 빼주는데 D와 4사이에 $을 넣어주면 D4의 값은 항상 고정이 됩니다. 따라서 고정값을 입력한 뒤 원하는 값까지 드래그 해주면 고정값으로 연산이 됩니다!

엑셀 2023.05.22

엑셀 최대값, 최소값 구하는 법

오늘은 엑셀 최소값 구하는 법에 대해서 설명드릴게요~! 먼저 엑셀에 아래 그림처럼 값이 있다고 가정합시다. 이 Y축의 최대, 최소값을 구할 때 각각 =Max, =Min의 함수를 이용합니다. 위의 그림처럼 =MAX를 입력한 후 원하는 구간의 값을 드래그 하면 최대값이 나옵니다. 마찬가지로 최소값은 아래 그림처럼 =MIN을 입력한 후 원하는 구 간의 값을 드래그하면 최소값이 나옵니다. 생각보다 쉬우니 글 보면서 따라하시면 좋겠습니다~

엑셀 2023.05.21

오리진(Origin) 그래프에서 Y축 여러개 만들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리진에서 Y축을 여러개 만드는 법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데이터를 plot하다보면 y축이 두개 이상일 때가 자주 있죠? 저도 처음 Y축이 두개 이상인 그래프를 만들어야할 때 어떻게 만드는지 몰라서 힘들었던 경험이 있습니다.먼저 데이터가 입력된 work sheet을 드래그합니다.그 이후에 하단에 제가 표시한 버튼을 클릭하시면, 이런 메뉴가 나옵니다 여기서 원하는 개수의 Y축을 설정하시면 됩니다. 만약 두개의 Y축이라면 Double Y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어요.

엑셀 2023.04.23